본문 바로가기
비전 워크샵

‘요즘 애들’의 진로 고민, 데이터를 보면 다르다

by 비전마스터 2025. 4. 3.

 
“요즘 애들은 무기력한 것 같아요.”  
“하고 싶은 것도 없고, 진로에 관심도 없어 보여요.”  

 

과연 그럴까요?   

 

진로 고민



1. “요즘 애들은 꿈이 없다?”라는 오해

청소년들은 막연한 이상보다

‘현실적으로 가능한 삶’을 선호합니다.  

 

높은 연봉이나 명문대 진학보다

‘나에게 맞는 일’, ‘내 삶을 지킬 수 있는 구조’를 원합니다. 

 

그래서 꿈이 없어보일 수는 있지만

꿈을 포기한 것은 절대 아닙니다.

현실과 균형 잡힌 진로를 전략적으로 선택하고 있는 중이죠.

 

2. 데이터로 본 청소년 진로 고민

2024년 교육부 진로교육 조사에 따르면,  
청소년들이 진로 탐색에 가장 필요하다고 느끼는 것은  
자기 이해’(42.3%)와 ‘진로 정보 접근성이었습니다.  
이는 ‘성공’보다는 ‘이해’와 ‘탐색’에 더 중심을 두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012

 

이 시기의 발달 특성상 논리적이고 추론적인 가설에 더 집중하곤 하는데, 이 과정을 천천히 꼼꼼하게 지나야 비전을 설계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보면 성공보다 탐색에 집중하는 것은 행복을 추구하는 본능이네요.

 

또한 진로 희망 직업군에서도 높은 지위보다

‘유연한 근무 환경’과 ‘삶의 질’을 중시하는 경향이 뚜렷했습니다.

 

진로 고민의 방향이직업’이 아니라 ‘삶의 방식’을 설계하는 과정이라는 의미입니다.

 

3. 청소년기 진로 탐색의 세 가지 특징

 

청소년 진로 탐색 3가지

① 지속성:  
관심이 생긴 분야는 꾸준히 파고듭니다.  
단기적 호기심 같지만,

실제로는 깊이 있는 몰입이 가능합니다.



② 현실성:  
진로 선택 시 생계, 직업 안정성, 워라밸을 고려합니다.  
이상적인 꿈보다는 내가 감당 가능한 현실을 찾습니다.



③ 자율성:  
강요된 진로 설계보다, 스스로 선택하고 시도할 수 있는 환경에서 더 진지하게 고민하고 실천합니다.

 

이렇게 지속성, 현실성, 자율성이 적절한 균형을 이루어야 진로 탐색의 결과도 만족스러워집니다.

 

 

4. 부모와 교사를 위한 진로 대화법

 

① “요즘 어떤 즐거운 일에 빠졌어?”  
→ 관심사를 기반으로 자연스럽게 질문을 시작해 보세요.

② “그 활동에서 기분이 어땠어?”  
→ 감정 중심 대화는 생각보다 깊은 연결을 만듭니다.

③ “최근 자주 떠오르는 생각은 뭐야?”  
→ 자기 인식의 흐름을 함께 따라가며 진로 실마리를 찾게 해 주세요.

 

 

어색할 수 있는 대화라고 단정하지 말고, 천천히 일상적으로 진로에 대해 말할 수 있는 분위기 조성이 중요합니다.


5. 진로 설계를 위한 실천 팁

 

- 감정 일기 쓰기  
  하루 한 줄이라도 감정과 상황을 연결해 써보게 하세요. 자신을 이해하는 힘은 진로 선택의 기반이 됩니다.

 

특히 스쳐갈 수 있는 생각을 기록하는 습관은 기억력 향상의 시스템을 만들어줍니다.

다그치지 말고 생각을 정리할 수 있는 시간들이 꼭 필요하고, 감정일기 쓰기가 그 한 방법일 수 있습니다.

 

감정 일기 쓰는 방법 10가지

1. 하루 중 감정이 크게 요동친 순간을 기록하세요
2. 그때 느낀 감정을 정확하게 이름 붙여 보세요 (예: 슬픔, 짜증, 안도감 등)
3. 감정을 느끼게 만든 사건이나 상황을 구체적으로 적으세요
4. 그 감정이 생긴 이유를 자기 입장에서 분석해 보세요
5. 감정이 몸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적어 보세요 (예: 가슴 답답함, 머리 아픔 등)
6. 그 감정을 다룬 방식이 무엇이었는지 써보세요 (예: 억눌렀는지, 표현했는지 등)
7. 감정을 표현하면서 하고 싶었던 말이 있다면 솔직하게 적어 보세요
8. 당시의 자신에게 어떤 말을 해주고 싶은지도 기록해 보세요
9. 감정을 통해 배운 점이나 느낀 점을 정리해 보세요
10. 하루 또는 일기의 마지막에 자신을 격려하는 따뜻한 말 한마디를 남기세요

 

 

- 진로 키워드 카드 만들기  
  좋아하는 것, 잘하는 것, 자주 하는 것을 분류해 카드 형태로 정리합니다.

 

진로 키워드 만드는 방법 (간단 5단계)

1. 자기 관심사 파악하기  
2. 강점과 성향 정리하기   
3. 관련 직업군 탐색하기 
4. 구체적 키워드로 전환하기  
5. 실제 검색 기반 키워드로 확인  
 
결과 예시:  
관심사 = 디자인, 성향 = 창의적, 좋아하는 활동 = 혼자 집중하기  
→ 키워드: UX디자인, 앱디자인, 포트폴리오 만들기, 디자인 진로, 디자이너 되는 법

 


- 직업’이 아닌 ‘삶’을 상상하기 
  10년 뒤의 일상, 아침부터 밤까지의 루틴을 상상하며 자연스럽게 진로를 도출할 수 있습니다.

 

이때 과도한 수준의 개선이 필요하게 되면 잦은 실패를 기억하고, 자기 확신을 부정하는 사고패턴이 생겨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청소년들은, 더 이상 ‘꿈을 꾸지 않는 세대’가 아닙니다.  
그들은 다른 방식으로, 조용하게, 자신의 삶과 방향을 고민하고 있어요.

 


우리가 해야 할 일은  
그들의 기준을 무시하지 않고,  
그들이 그리는 삶의 모습을 함께 이해하고 지지하는 것입니다.

 


“너는 뭘 하고 싶니?”보다  
“요즘 어떤 생각이 자주 들어?”라고 묻는 것이  
진로 대화의 시작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