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로 교육24 실행력 부족의 원인: 흑백논리 사고가 만드는 심리적 장벽 “해야 한다면 완벽하게. 아니면 하지 말자.”많은 사람들이 실행을 미루거나 포기할 때, 겉으로는 ‘의지 부족’처럼 보이지만 그 근저에는 ‘흑백논리’라는 인지적 오류가 숨어 있습니다. 흑백논리는 성공 아니면 실패, 전부 아니면 전무라는 이분법적 사고 방식으로, 계획을 세워도 첫 걸음을 내딛지 못하게 만드는 결정적 심리 요인입니다. 1. 인지왜곡과 실행력: 왜 생각이 행동을 가로막는가? 실행력 부족의 가장 큰 원인은 ‘감정이 생각을 압도하는 상태’입니다. 특히 흑백논리는 감정 중심의 왜곡된 해석을 강화합니다. 예를 들어, 블로그를 운영하려는 사람이 첫 포스팅에 만족하지 못하면 “난 블로그랑 안 맞아. 애초에 시작하지 말 걸.”이라는 식으로 단정 짓습니다. 이는 사고의 유연성이 부족하다는 뜻이며, 곧 실행력.. 2025. 4. 12. 비전 상담 모델 5가지 막연한 꿈을 구체적인 미션으로 만드는 비전 설계 작업에서, 지속성과 성취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목표 설정이 꼭 필요합니다. 이때 교사나 부모와 같은 '환경'의 주도적 가이드에만 의존될 경우 성장은 한계가 있는데, 각각의 사람마다 심리적인 역동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같은 문제로 범주화되더라도 내담자의 민감도나 강점을 중심으로 상담 모델을 선택하는 것이 상담자에게 요구되는 핵심 역량입니다. 오늘은 비전 실행을 위해 목표를 설정할 때, 특히 집단 워크숍을 진행하고자 할 때 도움이 될만한 코칭 모델을 소개하려 합니다. 5개의 모델은 상호적 기능을 할 수 있어서 목적에 따라 배치하면 좋은데, 상세한 내용보다는 구조를 비교해 보시면 좋겠습니다. 1. GROW 모델 (G – Goal, R – Rea.. 2025. 4. 9. 실행을 방해하는 세 가지 심리적 문제와 ACT 모델의 해결 전략 책만 열심히 보고 실행하지 못하고 계시지는 않나요? 저 역시 이런 문제에 고질적으로 시달립니다. 그런데 앞의 글에서 살펴봤듯이 이는 의지력 부족이나 태만의 문제가 아니었습니다. 보다 깊은 차원에서 작동하는 무의식적인 심리 메커니즘 때문이었죠. 오늘은 실행을 방해하는 심리적 문제를 좀 더 살펴보고,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ACT 모델(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 수용전념모델)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이제 실행이 가장 쉬워질 수 있으니 기대해 주세요. 1. 실행을 방해하는 세 가지 심리적 문제 1) 감정을 억누르려다 지친 사람들 – 감정 회피의 문제 실행하지 못하는 많은 사람들은 불안, 두려움, 자기비판 등의 감정을 느끼고 이를 ‘없애야 할 것’으로 인식합니다... 2025. 4. 9. 비전을 실행하지 못하는 이유, ‘무의식’이 당신을 붙잡고 있다 비전을 행동으로 옮기는 사람은 극히 드뭅니다.문제는 도구가 아니라 ‘심리적 저항’,그중에서도 무의식에서 작동하는 방어기제 때문입니다.1. 방어기제는 왜 작동하는가? 방어기제(defense mechanism)는 지그문트 프로이드가 정의한 개념으로, 자아(ego)가 불안, 갈등, 스트레스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무의식적으로 사용하는 심리적 전략이죠. 처음에는 우리를 지켜주는 역할을 하지만 삶을 바꾸는 중요한 시점에서는 이 방어기제가 실행을 방해하는 주범이 되기도 합니다. 비전 실행이라는 변화의 순간은 우리에게 불확실성, 실패 가능성, 정체성의 흔들림을 동반합니다. 그런데 이때!! 자아는 ‘심리적 안전’을 위해 익숙한 현재에 머무르려는 힘을 작동시키죠. 바로, 방어기제의 개입입니다. 2. 비전 실행을 방해.. 2025. 4. 7. GPT 웹버전(PWA) 오류 해결부터 윈도우 재설치까지 GPT 웹버전(PWA) 오류 해결부터 윈도우 재설치까지 (자바스크립트 에러, 흰 화면 문제 대처법)GPT를 크롬에서 앱처럼 쓰다가 흰 화면이나 로딩 무한 반복, 자바스크립트 오류 해결하는 방법입니다.그리고 모든 방법이 실패했을 때 윈도우 재설치하는 방법까지 안내해 보겠습니다. info_ GPT를 크롬에서 앱처럼 사용하는 기능은 "PWA"흰 화면, 무한 로딩, 입력 불가 현상은 대부분 크롬 설정 문제확장 프로그램, 자바스크립트, GPU 가속 등이 주요 원인순서대로 해결법을 따라가면 90% 이상 문제 해결 가능모든 방법 실패 시, 백업 후 윈도우 재설치도 안내1. PWA란 무엇인가요?PWA (Progressive Web App)는 웹사이트를 마치 앱처럼 바탕화면에 설치하고, 창 모드로 실행할 수 있는 기술.. 2025. 4. 7. GenAI, 거버넌스 관점에서 반드시 짚어야 할 포인트 사실 우리는 AI의 이중성과 매일 싸우고 있습니다!AI가 효율성을 올리지만, 과연 이 데이터는 믿을 수 있을까요? 새로운 통찰과 속도를 제공하는 AI지만,편향된 결과, 오용 위험, 데이터 품질 저하라는 그림자가 동시에 따라옵니다. 무턱대고 믿는 습관이 아직은 위험해 보여서 몇 가지 윤리적인 문제를 짚어보면 좋겠습니다. 1. NIQ는 무엇을 다르게 했는가? 1) 단순히 ‘인간처럼 보이게’가 아니라 ‘소비자처럼 느끼게’일부 설문 조사 기관들은 기술과 최소 개입으로 ‘그럴듯한 답변’을 만듭니다. 예를 들면 NIQ는 정확한 소비자 감정을 합성하기 위해 방대한 예측 소비자 데이터와 실제 제품 속성 정보를 AI에 학습시킵니다. NIQ(닐슨아이큐)는 소비자 행동을 분석하고 정보를 제공하는 세계적인 마케팅 연구 기.. 2025. 4. 6. 베타 세대는 왜 초맞춤형과 지속가능성을 원할까? “요즘 아이들, 뭐에 반응하는지 정말 모르겠어요.” 베타 세대의 특성 때문인데, 기존 방식대로 마케팅하거나 교육 콘텐츠를 기획하면 “무시당하거나 흥미를 잃어버리는” 상황이 반복되니 걱정이 클 수 밖에 없는데, 오늘은 베타 세대의 주요 가치를 만족시킬 수 있는 브랜딩 방법에 대해 생각해 보겠습니다. 내가 제공하는 것 = 베타세대가 원하는 가치 AI 기술 혁명 안에서 자라는 AI 네이티브 세대는, ‘나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내가 고른 것이 누군가에게도 해가 되지 않아야 한다’는 기준을 가지고 있습니다. 초맞춤형 + 지속가능성의 공존인데요.그 의미부터 향후 시장에서는 어떻게 수익화 방향을 잡아야 할지 생각해 보겠습니다. 1. 초맞춤형은 기본 이들은 태어나면서부터 알고리즘으로 삶을 경험합니다.유튜.. 2025. 4. 6. 베타 세대 (Beta Generation)의 정의 2025년 이후 출생한 아이들을 의미하는 잠정적 용어‘베타’는 소프트웨어 테스트 단계의 의미처럼 세상 자체가 실험적 환경이라는 메타포에서 기인알파세대(2010년대~2024년 출생)를 잇는 AI-네이티브, 기후위기-공감 세대 1. 핵심 가치관 베타의 의미만큼이나, 이 세대는 세상 자체를 실험적 환경이라고 봅니다. 얼핏 보면 불안의 요인이기도 하겠지만, 무한할 것 같은 변화 가능성을 의미하기도 하죠. 물론 기후 문제처럼 직접적인 생존을 위협하는 요인도 포함되어 있지만, 대안을 찾아야 한다는 절박함은 사회적 합의의 동력으로 작용되기도 합니다. 백지장도 맞드는 지혜가 생기면, 아마도 베타 세대는 지금까지 보다 더 폭넓은 융합을 전제로 가치관의 변화가 생길 것입니다. 무엇보다 가치관의 변화가 기대되는데요. 기후.. 2025. 4. 6. GPT PC 버전에서 ‘JavaScript Error Occurred in the Main Process’ 오류 뜰 때 대처 방법 ChatGPT 데스크탑 앱(PC버전)을 실행할 때 "JavaScript error occurred in the main process" 에러가 발생하면 앱이 열리지 않거나, 글자가 안 보이는 문제가 생겼습니다. 초보자도 해결할 수 있는 방법들이 있으니 안심하세요.1. 오류 메시지 예시 " A JavaScript error occurred in the main process " 이 메시지는 ChatGPT 데스크탑 앱의 핵심 실행 파일에서 문제가 발생했다는 뜻입니다. 특히 Electron 기반 앱에서는 'Main Process' 에러가 앱 전체 실행을 막을 수 있습니다.2. 주요 원인 정리 원인설명 설치 파일 손상이전 설치 중 오류가 있었거나, 불완전한 상태로 설치됨캐시/설정 충돌기존 버전의 설정값이 .. 2025. 4. 3. ‘요즘 애들’의 진로 고민, 데이터를 보면 다르다 “요즘 애들은 무기력한 것 같아요.” “하고 싶은 것도 없고, 진로에 관심도 없어 보여요.” 과연 그럴까요? 1. “요즘 애들은 꿈이 없다?”라는 오해청소년들은 막연한 이상보다 ‘현실적으로 가능한 삶’을 선호합니다. 높은 연봉이나 명문대 진학보다 ‘나에게 맞는 일’, ‘내 삶을 지킬 수 있는 구조’를 원합니다. 그래서 꿈이 없어보일 수는 있지만 꿈을 포기한 것은 절대 아닙니다.현실과 균형 잡힌 진로를 전략적으로 선택하고 있는 중이죠. 2. 데이터로 본 청소년 진로 고민2024년 교육부 진로교육 조사에 따르면, 청소년들이 진로 탐색에 가장 필요하다고 느끼는 것은 ‘자기 이해’(42.3%)와 ‘진로 정보 접근성’이었습니다. 이는 ‘성공’보다는 ‘이해’와 ‘탐색’에 더 중심을 두고 있음을.. 2025. 4. 3.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