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비전 워크샵

비전 상담 모델 5가지

by 비전마스터 2025. 4. 9.

막연한 꿈을 구체적인 미션으로 만드는 비전 설계 작업에서, 지속성과 성취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목표 설정이 꼭 필요합니다. 

 

비전 상담 모델

 

이때 교사나 부모와 같은 '환경'의 주도적 가이드에만 의존될 경우 성장은 한계가 있는데, 각각의 사람마다 심리적인 역동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같은 문제로 범주화되더라도 내담자의 민감도나 강점을 중심으로 상담 모델을 선택하는 것이 상담자에게 요구되는 핵심 역량입니다. 

 

오늘은 비전 실행을 위해 목표를 설정할 때, 특히 집단 워크숍을 진행하고자 할 때 도움이 될만한 코칭 모델을 소개하려 합니다. 5개의 모델은 상호적 기능을 할 수 있어서 목적에 따라 배치하면 좋은데, 상세한 내용보다는 구조를 비교해 보시면 좋겠습니다. 

 

 

1. GROW 모델

(G – Goal, R – Reality, O – Options, W – Will)

구체적인 목표 설정부터 실행계획까지 단계적으로 안내하는 대표적인 코칭 모델

 

 

구성

  1. Goal – 무엇을 이루고 싶은가? (단기/장기 목표 설정)
  2. Reality – 현재 상황은 어떤가?
  3. Options – 어떤 선택지가 가능한가?
  4. Will – 어떤 행동을 하겠는가? 언제 시작할 것인가?

 

비전 코칭에 활용할 때

  • 비전이 막연한 내담자에게 “현재-목표-실행”을 선형적으로 안내
  • 실행력을 저해하는 방어기제 탐색을 Reality 단계에 통합 가능

 

 

2. SMART 모델 

(Specific, Measurable, Achievable, Relevant, Time-bound)

목표를 명확하고 실현 가능한 방식으로 구조화

 

 

구성

  • Specific: 구체적인가?
  • Measurable: 측정 가능한가?
  • Achievable: 실행 가능한가?
  • Relevant: 나의 가치/비전과 관련 있는가?
  • Time-bound: 기한이 정해져 있는가?

 

비전 코칭에 활용

  • 비전이 너무 추상적일 때, SMART 프레임을 활용해 구체화
  • 내담자의 현실감 부족/완벽주의 방어기제에 대안적 현실감을 제공

 

3. Motivational Interviewing

(MI : 동기강화 상담)

내담자가 변화에 대한 내적 동기를 발견하고 스스로 행동하도록 유도

 

 

핵심 기술

  • 공감적 경청
  • 변화 언어(“나는 ~할 수 있을지도 몰라”) 탐색
  • 저항을 맞서기보다 ‘함께 걷는 자세’

 

비전 코칭에 활용

  • 변화에 대한 모순된 감정(ambivalence)을 다루는 데 효과적
  • 방어기제 중 회피, 부인, 투사를 유연하게 풀어낼 수 있음

 

4. ACT 모델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 수용전념치료)

감정과 생각을 통제하려 하지 않고, 수용한 상태에서 가치 기반 행동으로 나아가게 함

 

 

핵심 요소

  • 수용 (Acceptance)
  • 확산 (Defusion): 생각에 붙은 감정에서 거리두기
  • 현재에 존재하기 (Being Present)
  • 자아로서의 맥락 (Self-as-Context)
  • 가치(Value)
  • 전념적 행동(Committed Action)

 

비전 코칭에 활용

  • 두려움, 자기의심, 완벽주의로 인한 정체 상태에 적용 가능
  • 비전의 ‘왜’에 집중하게 하고, 감정 회피보다 가치에 기반한 실천을 돕는다.

 

 

5. PERMA 모델 (긍정심리학 기반)

(P – Positive Emotion, E – Engagement, R – Relationships, M – Meaning, A – Accomplishment)

삶의 전반적인 웰빙과 동기 부여 요인을 점검하고 균형 있게 목표 설정

 

 

비전 코칭에 활용

  • 단순 ‘성과 중심 목표’가 아니라, 삶의 만족도와 연결된 비전 설계에 적합
  • 지성화/과도한 생산성 중심 사고방식을 균형 잡힌 시각으로 바꿔줌

 


< 코칭에서 이렇게 활용할 수 있어요 >

GROW로 구조를 잡고
SMART로 목표를 정밀화하고
MI로 감정 저항을 풀고
ACT로 실행을 설계하고
PERMA로 삶의 균형을 점검

이렇게 조합해서 활용할 수 있지만, 물론 개별 문제에 집중하기 위해 단독으로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