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랜드를 설계하고, 콘텐츠를 만들었는데 왠지 실패할 것 같은 ... 생각이 들 때가 있습니다.
'지속 가능한 실행'을 스스로 의심하기 시작해서 입니다.
사실 많은 브랜드가 중단되는 이유는 전략이 없어서가 아닙니다. 지속가능성을 스스로 의심하면서 실행을 선언하지 않았기 때문일 것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브랜드가 지속될 수 있도록 자신의 의심을 멈추고, 브랜드의 생명을 유지하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실행 선언문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1. 실행 선언문은 브랜드의 기준점이다
실행 선언문은 그저 그런 슬로건과 다릅니다. 정확하게 작성된 선언문이라면 브랜드의 방향을 고정시키고, 흔들릴 때 돌아올 수 있는 기준점이 되기 때문에 꼭 준비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선언문은 마케팅 문장이 아니라,
‘내가 어떤 브랜드로 살아갈지를 스스로에게 약속하는 문장’입니다.
고객을 모으기 전에, “나는 왜 이 브랜드를 선택했는가?”를 스스로 정리해야 합니다. 그 문장이 실행력을 유지시킵니다. 예를 들어, 영끌해서 오픈한 매장에 매출이 낮으면 어쩌다 들리는 고객의 말 한마디에 컨셉을 놓치기 쉬운데요. 이런 순간에 기준이 되는 것이 브랜드의 실행 선언문입니다.
2. 감정이 실행을 방해 할 때, 선언은 행동을 지킨다
사람들이 브랜딩을 중단하는 가장 큰 이유는 시간이 없거나 능력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먼저는 감정적으로 지쳤기 때문입니다.
- “내가 이걸 계속 해도 되나?”
- “반응이 없는데, 이 길이 맞는 걸까?”
- “의미가 있나 싶다...”
이럴 때 필요한 건 전략이 아니라 선언입니다. 내가 왜 이 브랜드를 선택했고, 누구를 위해 무엇을 하겠다고 약속했는가를 되새기는 문장을 다시 떠올려보면 실행력을 끌어올리는 힘이 생겨납니다. 감정에서 온 문제일 때 동기와 목표를 확인하는 것만으로도, 모호한 우연을 기다리지 않을 수 있도록 자신을 설득해 줍니다.
3. 실행 선언문 구성 공식
실행 선언문은 가치, 고객, 문제, 제안의 4가지 요소를 담아야 합니다. 비전브랜딩연구소의 실행 선언문을 예로 들어 볼께요.
구성 | 요소 | 질문예시 |
가치 | 나는 어떤 가치를 중심에 두는가? | 진정성 |
고객 | 나는 누구를 돕고 싶은가? | 실행을 못 하는 창작자 |
문제 | 고객이 겪고 있는 고통은? | 감정 때문에 실행하지 못함 |
제안 | 나는 어떤 변화를 도울 수 있는가? | 감정을 수용하며 실행 선택을 돕는다 |
예시 선언문
" 나는 진정성을 중심에 두고,
감정 때문에 실행하지 못하는 창작자들에게,
감정을 수용하고 행동을 선택하는
실천 전략을 제안하며 살아간다.”
4. 실행 선언문을 활용하는 방법
✅ 1. 콘텐츠에 녹이기
브랜드 콘텐츠에 선언문의 메시지를 일관되게 담아 보세요. 같은 이야기를 한다고 지루해지지 않을까 걱정을 많이 하시는데, 글의 소재와 문제를 보는 방향을 사방형으로 바꿔보세요. 그렇게 단어가 달라도 핵심 메시지는 유지하시면 됩니다.
✅ 2. 결정 기준으로 삼기
새로운 제안이나 프로젝트 제안이 왔을 때, 선언문과 일치하는지 기준으로 판단해 보세요.
✅ 3. 위기의 순간 되새기기
반응이 없을 때, 에너지가 고갈됐을 때, 실행 선언문을 다시 읽어보세요. “내가 왜 이걸 시작했는지”를 잊지 않게 해 줍니다.
5. 실습하기 : 나만의 실행 선언문 만들기
이제 함께 만들어 볼까요? 다음의 질문에 외부의 반응을 의식하지 말고 천천히 답을 해 보세요.
- 나는 어떤 가치를 중심으로 살고 싶은가?
- 나는 누구의 문제를 공감하고 해결하고 싶은가?
- 그 문제는 어떤 감정에서 비롯된 것인가?
- 나는 어떤 방식으로 그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가?
📝 실행 선언문 템플릿
나는 [가치]를 중심으로,
[고객]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방식]으로 살아가는 브랜드를 선택한다.
🟨 간단하게 정리하면
- 브랜드는 방향이 아니라 방향에 대한 실행의 약속이다
- 실행 선언문은 브랜드의 지속 가능성을 결정한다
- 흔들릴 때마다 돌아올 수 있는 문장이 브랜드 실행을 살린다
- 선언은 에너지의 원천이자 실행의 재점화 장치다
- 그래서 실행 선언문의 핵심은 가치다.
📘
이 글은 [Vision to Brand] 시리즈 6편입니다.
이 시리즈는 감정 → 가치 → 비전 → 제안 → 브랜드 메시지까지 브랜드의 뿌리를 자기 자신 안에서 설계하는 흐름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나는 어떤 리듬으로 일하고 싶은가 – 지속 가능한 브랜딩 루틴 설계'를 주제로 실행의 페이스를 찾고 브랜드를 일상에 정착시켜 볼 전략을 짜보겠습니다.
'진로 코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행을 유도하는 콘텐츠란 무엇인가 – CTA 전략과 콘텐츠 흐름 만들기 (0) | 2025.05.06 |
---|---|
브랜드의 언어는 어떻게 콘텐츠가 되는가 – 일관된 메시지를 말하는 기술 (0) | 2025.05.05 |
제안은 어떻게 구조화되는가 – 브랜드를 1페이지로 정리하는 법 (0) | 2025.05.04 |
고객은 누구인가 – 과거의 나에게 제안하는 브랜딩 전략 (0) | 2025.05.03 |
진짜 브랜드만 아는 질문 (0) | 2025.05.02 |
비전은 있는데 왜 실행은 안 될까? – 감정 기반 브랜딩의 시작 (0) | 2025.05.01 |
비전은 있지만 실행이 어렵다면 따라해 보세요 – Vision to Brand 시리즈를 시작하며 (0) | 2025.05.01 |
빅데이터 자격증, 진로에 맞게 고르는 방법 (0) | 2025.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