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비전 워크샵

실행을 방해하는 세 가지 심리적 문제와 ACT 모델의 해결 전략

by vision farmer 2025. 4. 18.

비전을 세우고, 목표를 설정하고, 실행 계획까지 준비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은 정작 그 다음 단계인 실행에서 멈추곤 합니다.

이는 단순한 의지력 부족이나 태만의 문제가 아니라, 보다 깊은 차원에서 작동하는 무의식적인 심리 메커니즘 때문입니다.
 

act 모델

상담 과정에서 만난 사례를 통해  실행을 막는 세 가지 대표적인 심리적 문제가 발견됐는데, 오늘은 이런 부적 강화기제를 극복하는데 도움이되는 ACT 모델(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의  적용 방법까지 만나보겠습니다.


1. 감정을 억누르려다 지친 사람들 – 감정 회피의 문제

실행하지 못하는 많은 사람들은 불안, 두려움, 자기비판 등의 감정을 느끼고 이를 ‘없애야 할 것’으로 인식합니다. 그래서 감정을 억제하거나 무시하려 하지만, 이는 오히려 내면의 갈등을 심화시킵니다.

감정을 밀어내면 밀어낼수록 행동은 더 어려워지므로, 진짜 문제는 감정 자체가 아니라, 감정을 다루는 방식입니다.

"이 감정이 있으니 나는 할 수 없어”라는 회피적 사고가 실행을 중단시키는 직접적인 원인인 셈이죠.


2. 계속 미루는 사람들 – 실행력 부족의 심리적 구조

목표는 분명하지만 행동으로 옮기지 못하는 사람들은 종종 완벽주의, 자기의심, 실패 공포를 겪고 있습니다.

그들은 더 완벽하게 준비되었을 때 시작하려 하지만, 결국 그 준비는 영원히 끝나지 않고, 행동은 계속 미뤄집니다. 그들은 보통 계획을 자주 세우고, 실행은 거의 하지 않습니다. 그런데 계획-실행 간의 괴리가 커지고, 이로 인한 자기실망이 반복되면 실행력은 더 낮아집니다.


3. 생각에 휘둘리는 사람들 – 과잉 사고와 인지 과몰입

“내가 해도 될까?”
“이건 너무 늦은 건 아닐까?”
“이전에 실패했던 것처럼 또 망하는 건 아닐까?”
이런 과잉 사고는 행동으로 나아가는 에너지를 소모시킵니다.

생각은 감정과 연결되고, 감정은 행동을 막습니다. 게다가  ‘나라는 사람 자체’가 부정적으로 규정되기 시작하면 실행은 더 어려워집니다. “나는 게으른 사람이야” “나는 원래 실행력이 부족해” 같은 자기 정체화된 생각은 실행 이전에 이미 자신에게 한계를 걸어버리는 셈이니까요.


ACT 모델이란 무엇인가?

이러한 세 가지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심리치료 분야에서 개발된 ACT 모델(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는 매우 효과적인 접근을 제시합니다.

ACT는 단순히 감정을 통제하거나 생각을 긍정적으로 바꾸는 방식이 아닙니다. 오히려 감정과 생각을 억누르지 않고 ‘그대로 수용’하면서, 자신의 가치에 따라 행동을 선택하는 능력을 키우는 심리기술입니다.
 
 
ACT를 좀 더 활용해 보시면 누수되는 에너지를 중요한 일에 집약시킬 수 있으니 꼭 확인해 보시면 좋겠습니다.

ACT 더 알아보러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