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PT 웹버전(PWA) 오류 해결부터 윈도우 재설치까지 (자바스크립트 에러, 흰 화면 문제 대처법)
GPT를 크롬에서 앱처럼 쓰다가 흰 화면이나 로딩 무한 반복, 자바스크립트 오류 해결하는 방법입니다.
그리고 모든 방법이 실패했을 때 윈도우 재설치하는 방법까지 안내해 보겠습니다.
info_
- GPT를 크롬에서 앱처럼 사용하는 기능은 "PWA"
- 흰 화면, 무한 로딩, 입력 불가 현상은 대부분 크롬 설정 문제
- 확장 프로그램, 자바스크립트, GPU 가속 등이 주요 원인
- 순서대로 해결법을 따라가면 90% 이상 문제 해결 가능
- 모든 방법 실패 시, 백업 후 윈도우 재설치도 안내
1. PWA란 무엇인가요?
PWA (Progressive Web App)는 웹사이트를 마치 앱처럼 바탕화면에 설치하고, 창 모드로 실행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PWA의 특징:
- 크롬 브라우저 기반으로 설치됨
- 실행 시 일반 프로그램처럼 창이 따로 뜸
- 주소창, 탭 없음 → 앱 같은 느낌
- 자동 업데이트됨
GPT 웹버전도 크롬에서 PWA 형식으로 설치해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브라우저 설정이나 캐시, 확장 프로그램 문제로 인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죠.
2. 자주 발생하는 증상
- GPT 창이 흰 화면만 뜸
- "잠시만 기다려 주세요" 메시지 무한 반복
- 입력창이 먹통, 버튼 반응 없음
- JavaScript error, Script failed to load 등 오류 메시지 출력
3. 원인 요약
GPT PWA 웹앱에서 자주 발생하는 오류의 주요 원인과 그 설명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이 내용을 참고해 본인의 오류 상황과 맞는 원인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어요.
- 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 광고 차단기, 보안 관련 확장 기능이 GPT의 자바스크립트를 막아 오류 발생 가능
- 자바스크립트 차단: 크롬 설정에서 자바스크립트 실행이 꺼져 있는 경우 GPT가 로딩되지 않음
- 쿠키/캐시 손상: 이전 로그인 세션이나 손상된 데이터로 인해 GPT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음
- GPU 가속 충돌: 하드웨어 가속 기능이 웹앱의 그래픽 렌더링과 충돌할 수 있음
- PWA 앱 자체 문제: 설치된 GPT 앱이 손상되었거나, 크롬 업데이트와의 호환성 문제 발생 가능
4. 단계별 해결 방법 (초보자도 가능한 순서)
1단계. 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 비활성화
- 크롬 브라우저를 열고 주소창에 chrome://extensions 입력 후 Enter 키를 누르세요.
- 설치된 확장 프로그램 목록이 쭉 나타납니다. 이 화면에서 각각의 확장 프로그램이 어떤 기능을 하는지 이름을 보고 파악할 수 있어요.
- AdBlock, AdGuard, uBlock Origin: 광고 차단기입니다.
- DuckDuckGo Privacy Essentials, Privacy Badger, Avast Online Security: 보안 또는 추적 방지 관련 확장입니다.
- 예를 들어: 각 확장 프로그램의 오른쪽 아래에 있는 **파란색 스위치 버튼(슬라이더)**를 클릭해서 꺼주세요.
- 파란색 → 회색으로 바뀌면 비활성화 상태입니다.
- 필요하다면, ‘삭제’ 버튼을 눌러 완전히 제거할 수도 있어요.
모든 확장을 껐다면, 크롬을 다시 시작하거나 GPT 웹 페이지를 새로고침해서 문제가 해결됐는지 확인해 보세요.
📌 참고: 확장 기능 아이콘은 크롬 오른쪽 상단 퍼즐 조각 모양(🔧 또는 🧩) 버튼을 누르면 바로 확인할 수 있어요. 자주 쓰는 확장은 고정할 수도 있고, 여기서 바로 비활성화하거나 제거 메뉴로 들어갈 수도 있어요.
📌 일부 확장 기능은 페이지의 로딩을 방해하거나, 자바스크립트 차단 설정을 걸어놓을 수 있어요. 특히 GPT처럼 웹 기반 AI 앱은 자바스크립트 실행에 민감하므로 꼭 체크해 보세요!
2단계. 자바스크립트 허용 여부 확인
- 크롬 브라우저 주소창에 다음을 입력하고 Enter 키를 누르세요:
- chrome://settings/content/javascript
- '사이트에서 자바스크립트 사용 여부'를 설정할 수 있는 화면이 열립니다.
- '기본 동작' 항목에서 다음 두 가지 옵션 중 "사이트에서 자바스크립트 사용 허용(권장)"을 선택하세요.
- 이 옵션은 대부분의 웹사이트에서 자바스크립트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 아래로 스크롤하면 사용자 지정 동작이라는 항목이 보입니다.
- 만약 '차단된 사이트' 목록에 chat.openai.com이 들어 있다면, 쓰레기통 아이콘을 클릭해 제거해 주세요.
- 또는 '허용된 사이트' 항목에 https://chat.openai.com을 추가해도 됩니다.
📌 이 설정은 GPT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웹앱에 필수적인 조건입니다. 자바스크립트가 꺼져 있으면 GPT가 로딩되지 않거나 버튼이 작동하지 않을 수 있어요.
3단계. 쿠키 및 캐시 삭제
- 크롬 브라우저 주소창에 아래를 입력하고 Enter 키를 누르세요.
- chrome://settings/clearBrowserData
- '인터넷 사용 기록 삭제' 창이 열리면 기본 설정 탭 또는 고급 탭을 선택합니다.
- 기간은 전체 기간으로 설정하세요.
- 아래 두 항목을 체크하세요: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 캐시 된 이미지 및 파일
- 나머지 항목은 선택하지 않아도 됩니다. (예: 비밀번호, 자동완성 항목은 그대로 두세요)
- [데이터 삭제] 버튼을 클릭하면 삭제가 시작됩니다.
이 설정 후 예상되는 변화
- GPT 웹버전에 로그인되어 있던 세션이 초기화되므로 다시 로그인해야 합니다.
- 이전에 저장되어 있던 임시 오류 데이터가 지워져서 흰 화면, 무한 로딩 문제가 사라질 수 있습니다.
쿠키 삭제로 인해 다른 웹사이트도 다시 로그인해야 할 수 있습니다.
📌 이 과정은 GPT뿐 아니라 다른 웹사이트 문제 해결에도 자주 사용되는 기본 조치예요. 특히 캐시와 쿠키가 꼬였을 때 페이지가 정상 로딩되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꼭 시도해 보세요.
4단계. GPU 가속 끄기
- 크롬 브라우저를 열고 주소창에 다음을 입력한 뒤 Enter 키를 누르세요.
- chrome://settings/system
- '시스템' 설정 화면이 열리면 "가능한 경우 하드웨어 가속 사용"이라는 옵션을 찾을 수 있습니다.
- 해당 옵션의 오른쪽에 있는 토글 버튼을 클릭하여 비활성화(회색) 상태로 만드세요.
- 아래에 있는 [다시 시작] 버튼이 활성화되면 클릭하여 크롬을 재시작합니다.
📌 GPU 가속은 영상 처리나 애니메이션 렌더링 속도를 높이기 위한 기능이지만, 특정 PC 환경에서는 웹앱과 충돌을 일으킬 수 있어요. GPT처럼 복잡한 자바스크립트 기반 웹앱이 정상 작동하지 않거나, 화면이 흰색으로만 보일 때 이 기능을 꺼주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이 설정 후 기대할 수 있는 변화
- GPT의 화면이 정상적으로 출력되거나, 흰 화면 문제가 사라질 수 있습니다.
- 버튼이 클릭되지 않던 현상이 해결되기도 합니다.
GPU 가속과 충돌하던 다른 웹앱들도 더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어요.
📌 고사양 그래픽 작업을 자주 하는 경우엔 GPU 가속이 필요한 기능일 수도 있지만, 일반적인 웹 사용 환경에서는 꺼도 큰 문제가 없어요.
5단계. GPT PWA 앱 삭제 후 재설치
- 크롬 브라우저를 열고 주소창에 https://chat.openai.com을 입력해 GPT 웹사이트에 접속합니다.
- GPT 메인 페이지가 로딩되면, 크롬 우측 상단의 점 3개 메뉴 버튼(⋮)을 클릭하세요.
- 일부 사용자에게는 주소창 오른쪽 끝에 '앱 설치' 또는 '+' 아이콘이 표시되기도 합니다.
- 앱 설치 메뉴가 보이지 않는 경우, 다음을 확인해 보세요:
- **GPT 웹사이트(https://chat.openai.com)**에 접속했는지 확인하세요. 일부 페이지에서는 설치 버튼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 주소창 오른쪽 끝에 있는 컴퓨터+화살표 모양의 아이콘(앱 설치) 이 보이는 경우, 그것을 클릭하면 설치가 가능합니다.
- 또는, 우측 상단 점 3개 메뉴(⋮)
- [전송,저장 및 공유]를 선택한 후, [페이지를 앱으로 설치]를 클릭합니다.
- 나타나는 팝업에서 '설치' 버튼을 클릭하여 앱을 설치합니다.
- 선택한 후 '창으로 열기'에 체크하고 만들면 앱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만약 위 메뉴가 전혀 보이지 않는다면, 브라우저가 GPT의 PWA를 인식하지 못하는 상태일 수 있으니 다른 브라우저(예: Edge)로 시도해 보는 것도 방법입니다.
이 설정 후 기대되는 변화
- 손상되었던 앱 설정이나 캐시가 초기화되어 흰 화면 오류나 버튼 먹통 현상이 사라질 수 있습니다.
최신 버전으로 다시 설치되므로, 업데이트와의 충돌 문제도 해결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GPT는 Electron 기반의 앱(PWA 포함)이기 때문에, 이전 설치 중 오류가 있었던 경우 앱 자체를 삭제하고 다시 설치하는 것이 가장 빠른 해결 방법일 수 있어요.
6단계. 시크릿 모드로 접속 테스트
- 키보드에서 Ctrl + Shift + N을 눌러 시크릿 창을 엽니다. (Mac은 Command + Shift + N)
- 시크릿 모드에서는 기존 쿠키, 캐시, 확장 프로그램이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깨끗한 환경에서 접속할 수 있어요.
- 주소창에 https://chat.openai.com을 입력해서 GPT에 접속합니다.
- 정상적으로 화면이 로딩되고 입력창, 버튼 등이 작동하는지 확인하세요.
이 설정 후 기대되는 변화
- 캐시나 확장 프로그램이 문제였다면, 시크릿 모드에서는 정상 작동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GPT가 시크릿 창에서는 잘 작동하는데 일반 창에서는 오류가 있다면, 원인은 쿠키, 캐시, 확장 프로그램, 브라우저 설정 충돌일 확률이 높습니다.
📌 이 방법은 '임시 테스트용'으로 적합하며, 근본적인 원인 파악에 매우 유용해요.
7단계. 다른 브라우저에서 시도
- 구글 크롬 외에 다른 브라우저를 설치합니다. 대표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브라우저가 있어요:
- 설치 후 해당 브라우저를 열고, 주소창에 https://chat.openai.com을 입력합니다.
- GPT 웹버전에 접속한 뒤, 로딩 및 동작 여부를 확인합니다.
이 설정 후 기대되는 변화
- 크롬 브라우저 자체의 문제였을 경우, 다른 브라우저에서는 정상 작동할 수 있어요.
- Edge나 Brave는 크롬과 비슷한 구조를 갖고 있어 사용법이 어렵지 않으며, 성능 면에서도 안정적인 대안이 됩니다.
📌 이 단계는 'GPT 자체 문제'인지 '브라우저 설정/환경 문제'인지 구분할 수 있는 좋은 진단법입니다.
5. 모든 방법이 실패했다면? 윈도우 재설치
STEP 1. 중요한 데이터 백업
- 바탕화면, 문서, 다운로드 폴더 복사
- 외장하드, USB, 또는 구글 드라이브에 백업
STEP 2. 크롬 북마크 백업
방법 1: 구글 계정 로그인 → 자동 동기화
방법 2: 수동 백업
- chrome://bookmarks → 점 3개 > '북마크 내보내기'
- bookmarks.html 파일로 저장
STEP 3. 윈도우 설치 USB 만들기
- https://www.microsoft.com/software-download/windows10 접속
- '지금 도구 다운로드' → Media Creation Tool 실행
- ‘다른 PC용 설치 미디어 만들기’ 선택 → 8GB 이상 USB 선택
STEP 4. 윈도우 설치하기
- USB 연결 후 재부팅 → 부팅 메뉴(F12, DEL 등) 진입
- USB로 부팅 → 설치 시작
- ‘사용자 지정 설치’ 선택 → 기존 윈도우 드라이브 포맷 후 설치
STEP 5. 설치 후 초기 세팅
- 크롬 재설치 → 북마크 복구
- GPT 재접속 및 앱 재설치 (필요시 위 해결법 참고)
- 드라이버 자동 업데이트 확인
GPT 앱이 안 되는 상황은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어요.
하지만 당황하지 말고,
하나씩 원인과 해결 방법을 점검해 보면서
새로운 문제에 도전해 보는 것 자체도 멋진 일입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댓글 남겨주시고,
자주 쓰는 해결법은 즐겨찾기 해두세요!
'브랜딩 도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GPT PC 버전에서 ‘JavaScript Error Occurred in the Main Process’ 오류 뜰 때 대처 방법 (0) | 2025.04.0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