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ct4

감정을 없애려 할수록 더 힘들어지는 이유 – ACT 심리학 1단계 “이런 감정 느끼면 안 되지.”“이런 기분 가지고선 아무것도 못 해.”이런 생각, 익숙하지 않으세요?우리는 살아가며 수많은 감정을 느낍니다. 두려움, 긴장, 짜증, 무력감, 슬픔... 그리고 많은 경우, 이 감정들을 ‘없애야 할 것’, ‘숨겨야 할 것’으로 여깁니다. 하지만 심리학은 말합니다. 감정을 없애려 할수록, 그 감정은 더 커진다고요. 1. 감정 조절보다 먼저 해야 할 일: 감정 수용 감정은 ‘통제해야 할 대상’이 아닙니다. ACT(수용전념치료)는 감정을 통제하려는 대신, 있는 그대로 느끼고 수용할 수 있도록 훈련하는 심리 기법입니다. 감정은 우리 안의 신호입니다. 그 신호를 무시하거나 끊으려 하면, 오히려 신호음은 더 커지고, 삶은 더 답답해집니다. 감정 수용의 의미“지금 이 감정이 있는 걸 안.. 2025. 4. 18.
ACT(수용전념치료)란? 불편한 감정이라도 없애려고 애쓰지 마세요.감정을 안고도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자신이 느끼는 감정을 조절하려 하거나 없애려고 합니다. 불안, 두려움, 짜증, 우울 같은 감정을 제거하면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을 거라고 믿기 때문이죠.하지만 현대 심리학은 오히려 그 반대의 길을 제시합니다. 감정을 억제하지 않고 수용하면서도, 내가 원하는 방향으로 살아가는 것, 이것이 바로 수용전념치료(ACT,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의 핵심입니다. 1. 수용전념치료(ACT)란? 수용전념치료는 1990년대 미국에서 개발된 제3세대 인지행동치료입니다. 그 목적은 단순한 증상 제거가 아닌,삶의 질 향상과 가치에 기반한 실천입니다. 이런 원리에서 ACT는 다.. 2025. 4. 18.
실행을 방해하는 세 가지 심리적 문제와 ACT 모델의 해결 전략 비전을 세우고, 목표를 설정하고, 실행 계획까지 준비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은 정작 그 다음 단계인 실행에서 멈추곤 합니다.이는 단순한 의지력 부족이나 태만의 문제가 아니라, 보다 깊은 차원에서 작동하는 무의식적인 심리 메커니즘 때문입니다. 상담 과정에서 만난 사례를 통해 실행을 막는 세 가지 대표적인 심리적 문제가 발견됐는데, 오늘은 이런 부적 강화기제를 극복하는데 도움이되는 ACT 모델(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의 적용 방법까지 만나보겠습니다.1. 감정을 억누르려다 지친 사람들 – 감정 회피의 문제실행하지 못하는 많은 사람들은 불안, 두려움, 자기비판 등의 감정을 느끼고 이를 ‘없애야 할 것’으로 인식합니다. 그래서 감정을 억제하거나 무시하려 하지만, 이는.. 2025. 4. 18.
비전 상담 모델 5가지 막연한 꿈을 구체적인 미션으로 만드는 비전 설계 작업에서, 지속성과 성취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목표 설정이 꼭 필요합니다.   이때 교사나 부모와 같은 '환경'의 주도적 가이드에만 의존될 경우 성장은 한계가 있는데, 각각의 사람마다 심리적인 역동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같은 문제로 범주화되더라도 내담자의 민감도나 강점을 중심으로 상담 모델을 선택하는 것이 상담자에게 요구되는 핵심 역량입니다.  오늘은 비전 실행을 위해 목표를 설정할 때, 특히 집단 워크숍을 진행하고자 할 때 도움이 될만한 코칭 모델을 소개하려 합니다. 5개의 모델은 상호적 기능을 할 수 있어서 목적에 따라 배치하면 좋은데, 상세한 내용보다는 구조를 비교해 보시면 좋겠습니다.   1. GROW 모델 (G – Goal, R – Rea.. 2025. 4. 9.